정보제공 :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(www.zeus.go.kr)
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
DRIS No. | DRIS-1-0149 |
---|---|
시설장비등록번호 | NFEC-2017-08-239373 |
보유기관 | 경북대학교 |
담당자 | |
연락처 | |
이메일 |
모델명 | DSC25 | 제작사 | Ta Instruments |
---|---|---|---|
취득일자 | 2017-07-25 | 취득금액 | 40,720,000원 |
5대 미래산업 분류 | 반도체,헬스케어 | 활용용도 | 시험 |
표준분류 | 물리적측정장비 > 온도/열/습도/수분측정장비 > 열분석기 | ||
장비위치 | |||
장비설명 | 열분석(Thermal Analysis)이란 기본적으로 측정 시료에 열을 가하여 각각의 온도 변화에 따른 물질의 변성(變性)을 측정하는 시스템이며 어떠한 변성의 량을 측정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. 예를 들면 온도 변화에 따른 열량의 출입을 측정할 경우 DSC를, 무게 변화를 측정할 경우 TGA, 길이, 부피등 Dimension변화를 측정할 경우 TMA, 강도(Modulus) 변화를 측정할 경우 DMA등 다수의 열분석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. | ||
구성 및 기능 |
본 DSC의 구성과 성능은 다음과 같다.
- 구성:DSC25 본체와 냉각(cooling)장치로 구성 - 성능 1)Temperature Range : -180 to 725°C 2) emperature Precision : ±0.01°C 3) emperature Accuracy : ±0.1°C 4) Calorimetric(Entalphy) Precision : ±0.1 % 5) Baseline Flatness : < 100µW 6) Baseline Reproducibility : < 40µW |
||
사용/활용예 |
본 DSC는 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시료와 기준 물질간의 열 흐름(Heat Flow)의 차를 측정함으로써 물질의 전이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,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, 녹는점, 끓는점, 비열, 경화도, 결정화도, 순도, 산화 안정성, 열 안정성등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정보를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열분석 장비이다 이러한 정보는 공정 최적화, 신소재의 연구나 개발에 사용된다.
열유속(Heat flow)은 전도된 전력(transmitted power)에 상당하며 와트(W; Watt)나 밀리와트(mW)단위로 측정된다. 열유속이나 전도전력을 시간으로 미분하면 에너지량으로 환산되며 mW•s나 mJ로 표시된다. 전도된 에너지는 시료의 엔탈피(enthalpy) 변화에 상당한다. 즉, 시료가 에너지를 흡수하면 엔탈피 변화는 endothermic이며 에너지를 방출하면 이 과정을 exothermic이라 한다. DSC는 엔탈피 변화(enthalpy changes)와 전이에 의해 발생되는 열적거동(thermal effects)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DSC를 이용해, 용융(fusion 혹은 melting)-용융열(ΔH), melting point(Tm),유리전이온도(glass transition temperature, Tg),결정화(crystallization)-결정화열, 결정화차수(degree of cryatallization), 결정화온도(Tc), 경화(curing)-경화도(degree of cure), 경화열, postcuring, evaporation, solid-solid transition, polymorphism, oxidation-Oxidation Induction Time(OIT, 산화도입기), thermal stability, purity(순도), identification, 휘발성분의 증발과 같은 물리적 전이, 화학반응(chemical reaction) 거동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|
||
이용안내 | |||
유의사항 |
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 |
---|